타이탄의 도구들: ch.6
by 습관중독- 6 레드 팀을 이끌어라 by Marc Andressen
- Marc Andressen (@pmarca): 현대 인터넷의 창시자. 현재 Andressen Horowitz의 VC
- 가격을 올려라
- “사람들이 내 제품을 사지 않는 건, 더 많은 돈을 지불하고서라도 내 것보다 더 좋은 걸 사려고 기다리고 있는 것.”
- 그러면 문제 정의가 달라진다. “내 제품이 안팔리는 이유는, 싸지 않아서가 아니라, 더 좋지 않아서일 뿐이다.”.
- ‘파는 사람이 제 값을 받고자 한다면 사는 사람 또한 제값을 치르고자 한다’
- 마크의 2가지 성공철학
- 사람들이 무시할 수 없는 실력을 갖춰야 한다.
- 무엇이든 물건을 만드는 사람은 반드시 똑똑해야 한다.
- “사람들이 내 제품을 사지 않는 건, 더 많은 돈을 지불하고서라도 내 것보다 더 좋은 걸 사려고 기다리고 있는 것.”
- 똑똑한 사람들을 어디에서 찾을 것인가
- “중요한 것은 똑똑한 사람들이 퇴근해 무엇을 하느냐임. 그들의 낮은 관심 없다. 돈벌려고 회사서 시키는 일할테니. 밤시간과 주말에 매달리는 일이 무엇인지를 끈질기게 추적관찰해 정보를 얻는다. 뭔가 우리가 전혀 생각지도 못한 흥미로운 일을 하는 사람이 우리에게 엄청난 돈을 벌어다줄 사람.”
- 철저하게 부숴줄 힘이 필요하다
- 마크: 실무자에게 별도의 의사결정 투표나 합의 없이 계약체결권한 부여.
- but ‘red team’으로 그들을 test 함: 기업이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객관적으로 사전예측하고 취약점을 포착해 전략을 재검토하고, 대안분석을 통해 의사결정자에게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는 역할.
- 처음엔 어려웠음: 같은 동료들끼리 약점을 파고들어 서로 자칫 모욕으로 빠지기 쉬운 비판을 주고받는 게 쉬운 일은 아니었다.
- ⇒ my: 상훈’s 알고리즘의 검증자와 유사 역할
- 처음엔 어려웠음: 같은 동료들끼리 약점을 파고들어 서로 자칫 모욕으로 빠지기 쉬운 비판을 주고받는 게 쉬운 일은 아니었다.
- Co-Founder인 Ben Horowitz를 시범 케이스로 삼음. 벤치 새로운 계약이나 플젝 가져올 때마다 무조건 먼저 그 내용을 호되게 비판 ⇒ 고문에 가까운 테스트 + 사내에 ‘레드팀’ 문화가 정착 시작 ⇒ 비판자오 달게 받는 사람도 모두 자기 자신과 상대, 회사를 위해 기여하고 있다는 걸 깨닫는 순간 ⇒ 성공 직감!
- but ‘red team’으로 그들을 test 함: 기업이 직면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객관적으로 사전예측하고 취약점을 포착해 전략을 재검토하고, 대안분석을 통해 의사결정자에게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는 역할.
- 개인: 3~5명 정도 반대편에서 신념과 철학을 처절하게 부숴줄 팀 필요 ⇒ 그래야 강해진다.
- ‘사내’ 레드팀의 공격을 극복하지 못하면 ⇒ ‘세상’이라는 더 무서운 레드팀에 굴복하게 됨.
- 마크: 실무자에게 별도의 의사결정 투표나 합의 없이 계약체결권한 부여.
- 반대편을 연구하라
- 대체자: 당신의 생각과 정반대 방향에 있을만한 사람. 당신과 180도 다른 가치, 생각, 아이디어, 철학을 가진 사람 ⇒ 성장에 자양분 제공.
- 마크: 요즘 Warren Buffet 연구 중. 이유? Warren vs. Mark
- 돈 거는 방향 = 변화를 거스르는 쪽 / 변화
- 실수 = 미처 예상치 못한 뭔가가 변했기 때문 / 우리가 예상했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
- 중요 공통점: 더이상 서로 전혀 다른 존재x. 독창적 생각 지향. 서로 항상 반대편을 살펴봄으로써 내 편에 있는 사람들이 동의하는 것, 그래야만 한다고 생각하는 것에 가려진 실체를 보고자 노력.
- 강력한 의견, 침착한 태도 = 오랫동안 Mark의 Profile of Twitter
- 성공의 가장 큰 적 = ‘합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살면서 어떤 일에 강력한 의견을 개진, 발전, 구체적 진행 경험이 없음 ⇒ 늘 상대와의 합의를 더 중시해왔기 때문.
- 레드팀: 더 강력한 의견 소유가능, 일반적 통념과 완전히 반대되는 것 찾는 습관 갖게 됨.
- 실패 = 흔히 돈 상실만 생각 ⇒ “시간”도 잃는 것 ⇒ 강력한 확신 필요.
- 침착한 태도 또한 중요:
- 세상에 없는 길을 가라 ⇒ Mark의 팔로워들이 가장 좋아하고 자극을 얻는 Mark의 tweet들
- 지금 몹시 힘겨운 상황이라면 전신 거울 속을 들여다보라. 당신의 모든 근육과 자세가 ‘앞을 향해’ 있는가?
- 내 목표는 빨리 실패하지 않는 게 아니다. 장기적으로 성공하는 것. 이 둘은 하늘과 땅만큼 서로 다르다.
- 아무도 모르는 걸 나만 아는 것이 독창성이 아니다. 독창성은 아주 소수의 사람만이 아는 것을 아는 것이다.
- 반짝 성공에 그치는 이유는 하나다. 한번 성공하고 나면 “이봐, 지금 네가 갖고 있는 아이디어가 얼마나 시시한 줄 알아?”라고 말해줄 사람들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 폭락을 예측하려던 투자자들이 잃은 돈이, 폭락 자체로 사라진 돈보다 훨씬 많다.
블로그의 정보
습관을 애정한다
습관중독